정월대보름에 먹는 상원절식(上元節食)

 

돌아오는 24일(음력 1월 15일)은 연중 가장 처음 맞는 보름인 정월대보름이다. 대보름이라 부르는 까닭은 정월에 보름달의 크기가 일년 중 가장 크기 때문이다. 정월대보름은 설, 추석과 함께 큰 명절 중 하나로 달맞이, 쥐불놀이, 지신밟기 등 다양한 민속놀이를 행하며 하루를 낸다.

상원일(上元日)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정월대보름에는 오곡밥, 부럼, 진채식, 귀밝이술 등 다양한 절식을 즐긴다.

장수를 기원하며 먹는 오곡밥 사진=쿡쿡TV

 

오곡밥
쌀, 보리, 조, 콩, 기장 등 5가지 곡물을 이용해 만든 오곡밥. 정월대보름에는 장수를 기원하며 오곡밥을 지어먹었다. 오곡밥을 찰곡식만 가지고 지으려면 찹쌀, 차수수, 차좁쌀, 붉은팥, 검정콩을 이용해 시루에 쪄내기도 한다. 대보름날 먹는 오곡밥은 다른 성을 가진 세 집 이상의 밥을 먹어야 그 해 운이 좋다고 하여 자연스럽게 나눠먹는 풍습을 가지기도 했다. 

정월대보름 아침에 찬 술을 마시면 귀가 밝아진다고 한다.

귀밝이술
‘이명주(耳明酒)’라고 하는 귀밝이술은 정월대보름 아침 일찍 식사 전에 마신다. 주로 맑은 술을 이용한다. 귀밝이술은 데우지 않고 차갑게 해서 마시는 것이 특징이다. 술을 못 먹는 아이들에게는 살짝 입술만 적셔서 풍습을 대신하기도 했다. 술을 마신 후에는 엿을 먹는데 깨물어 먹지 않고 길게 늘려 먹는다.

대보름에 먹는 묵은 나물 중 하나인 호박고지나물 사진=쿡쿡TV

묵은나물(진채식)
진채식은 전 해에 말려두었던 여러 가지 식물을 나물로 만들어 먹는 정월대보름의 절식이다. 묵혀 두었다가 만들어 먹는 나물이기에 묵은나물이라 불린다. 주로 박, 오이, 버섯, 호박, 시래기, 고사리, 취, 오이, 가지 등을 말려두었다가 나물로 만든다. 보름날 진채식을 먹어야 여름에 더위를 타지 않고 잘 견딜 수 있다는 풍습이 있다.

대보름 아침에 1년 12달 부스럼을 예방해준다는 풍습을 따라 각종 견과를 껍질째 깨문다. 사진=쿡쿡TV

부럼
정월대보름에 까먹는 잣, 날밤, 호두, 은행, 땅콩 등을 통틀어 부럼이라 부른다. 1년 12달이 평안하고 종기나 부스럼이 나지 말라는 의미로 부럼을 깨문다. 부럼을 깨물 때 자기 나이만큼 깨무는 것이 좋다고 전해진다. 이가 약한 사람들은 부럼 대신 엿이나 무를 깨물기도 한다.

(조선닷컴 라이프미디어팀 정재균 PD jeongsan5@gmail.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