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Canon, Bible)
○ 성경책의 유래
성경(구약)은 본래 히브리어로 "하 세파림"(Ha Sefarim)이라고 불이었습니다.
이 뜻은 단순히 "그책들"(The Book)이라는 뜻입니다.
구약성경이 본래 쓰였던 히브리어(Hebrew)에서 희랍어(Greek)로 번역될때, 책의 명칭도 "ta biblia" (the book)로 번역되었고,
이 이름은 라틴어(Latin)를 거쳐 영어의 "Bible"이 되었습니다
○ 구약과 신약의 유래
"구약"이라는 이름 자체는 이미 "신약"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반대로 "구약"이 없이는 " 신약"이라는 말은 성립되지 않습니다.
구약과 신약이라는 말은 구약의 예언자 예례미야의 말씀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보라 날이 이르리니, 내가 이스라엘 집과 유다집에 새 언약(new convenant)를 세우리라" [예레미야31:31]
"새 언약"이란 곧 "신약"이라는 말입니다.
그리하여 신약이라는 명칭이 생겨났고, 이에 대비하여 구약이라는 말도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구약과 신약에서 "약"이라는 말은 언약 또는 계약이라는 말로 히브리어의 브리트(berith)라는 말의 번역입니다.
○ 정경(Canon & Apocrypha)
이 말은 히브리어의 카네(qaneh)에서 나온말입니다.
"카네"란 곧은 막대기, 곧은 갈대(stick, rod, reed)라는 뜻입니다.
이 말은 희랍어로 건너와서 Kanon이 되었고, 그 말의 뜻도 단순한 막대기라는 말에서 무엇을 재고 측량하는지, 기준 표준의 뜻으로 그 의미가 변화하였습니다.
이 말을 주후 4세기경 기독교 신학에 들어와서 정경이라는 의미로 사용하게 됨
- 개신교에서의 정경 : 구약 39권, 신약 27권 합 : 66권
- 천주교에서의 정경 : 구약 46권, 신약 27권 합 : 73권
○ 외경(Apocrypha)
- 70인역이란
주전 300년에 각 지파별로 모여 70인(72인?)이 모여서 번역한 책인데 그 당시 희랍문명이 중심지로 많은 사람들이 희랍어를 사용하고 점차 히브리어를 사용하지 않게 되자 희랍어 성경이 필요하게 됨으로 번역하기에 이른다.
- 외경은 얌니야회의(약 주후 90년)에서 구약 정경을 39권으로 채택하면서 발생다
- 70인역은 정경 66권외 참고할 만한 책이라 하여 15권을 성경책 뒤에 부가하였다.
-> 여기서 외경이라 함은 정경처럼 하나님의 신적권위는 없지만 읽어서 좋은 글이라고 명시했다.
- 그 후에도 계속 외경이 정경에 포함되는지 논란이 있었고 사실 유대인은 정경 39권만 주장했지만 초기 천주교(교부시대)에는 외경도 정경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
- 주후 300 ~ 400년경까지 논란을 일다 니케아 회의로 일단락 됨
- 외경의 목록 15권
토비트 (Tobit = Tobias)
유디트 (Judith)
솔로몬의지혜 (Wisdom of Solomon)
바룩 (Baruch)
예레미야의 편지 (The Letter of Jeremiah)
마카비서 상 (1 Maccab!ees)
마카비서 하 (2 Maccab!ees)
수산나 (Susanna)
세 청년의 노래 (The Song of Three Young Men)
벨과 용(뱀) (Bel and Dragon)
에스더 속편 (Additition to Esther)
벤시락 또는 집회서 (Ben Sirach, Ecclesiasticus)
에스드라스 상 ( 1 Esdras)
에스드라스 하 ( 2 Esdras)
므낫세의 기도 (The Prayer of Manasseh)
- 외경 15권중 총 12권(독립 7권)을 정경으로 포함시킴 -> 현 천주교
토비트 (Tobit = Tobias)
유디트 (Judith)
지혜서(솔로몬의지혜, Wisdom of Solomon)
바룩 (Baruch)
예레미야의 편지 (The Letter of Jeremiah)
마카비서 상 (1 Maccab!ees) - 천주교에서는 마카베오 상
마카비서 하 (2 Maccab!ees) - 천주교에서는 마카베오 하
벤시락 또는 집회서 (Ben Sirach, Ecclesiasticus)
에스더 추가부분,
다니엘서 추가부분(수산나, 세 청년의 노래, 벨과 용)
- 포함시킨 이유 : 7권의 내용을 보면 알수 있음.
-> 연옥, 죽은자의 세례, 죽은자의 죄사함에 대한 기록이 있음
천주교의 문제가 여기서 발생하게 됨, 교황청의 권위를 위해 필요
-> 천주교와 연관된 주요 교리 : 연옥, 성모승천설 무오성, 천사숭배 등
※ 니케아 회의 : 300 - 400년사이 1차부터 4차 까지 열림
- 삼위일체, 성경적 권위, 하나님의 영감으로 쓴 책등의 교리 완성
※ 영지주의 : 이 외경중심으로 탄생한 파. 외경에 짐착함
- 악마도 하나님과 동등한 힘을 가진 악한 신으로 묘사, 연옥, 죽은자의 죄사함
※ 외경 : 예수님은 한번도 인용하지 않았다고 하지만 초대교회에서는 많이 읽혀졌다고 함
○ 외경의 내용
- 마카비 2서(2 Maccab!ees) 12장에서 우리는 유다 마카비(Judas the Maccab!ean)가 기도회를 연 후 율법에서 금하는 바, 우상을 부적으로 지닌 채 전사한 자들의 죄가 용서받도록 그들을 위하여 기도한 것과 또한 그들을 위한 속죄의 제사에 쓰일 비용으로 많은 돈을 모금하였다는 기사를 보게 됩니다.
- 집회서(Ecclesiasticus 또는 Sirach 38:24~34)에서는 농부, 기술자, 대장장이, 옹기장이 또는 그와 비슷한 다른 종류의 일을 하는 모든 사람들은 성경 학자가 될수 없다
-> 랍비들의 교만.
- 집회서(6:20)에서 저자는 "좋은 기질을 타고 난 어린이였으며 훌륭한 영혼을 받은 자였다"라고 밝히면서, 따라서 자신은 더럽혀질수 없는 몸을 부여 받았노라고 말함
- 토비트서(the Book of Tobit)에 나오는 토비아(Tobias)의 이야기는 눈 멀고 가난한 처지가 된 토비트는 그의 아들 토비아를 메대(Media)에 있는 채권자 가바엘에게 보내어 약간의 돈을 빌려 오도록 합니다.한 사람이 토비아와 함께 길을 떠나는데 나중에 그는 천사 라파엘(Raphael)임이 밝혀졌습니다. 그 둘은 길을 가다가 밤이 되어 티그리스 강 가에서 하룻밤 묵게 되었는데. 마침 토비아가 발을 씻으려고 물 가에 내려갔을 때에 한 커다란 물고기가 물에서 뛰어올라 그의 발을 잘라먹으려고 하였습니다.
그 때에 라파엘은 고기를 잡아 죽이되, 그 쓸개와 염통과 간은 먹지 말고 잘 보관하라고 했다. 여행을 계속하는 중 토비아는 남겨 둔 그 물고기의 쓸개와 염통과 간을 무엇에 쓸 것인지를 물었습니다.
라파엘은 대답하기를 쓸개는 눈이 먼 자의 시력을 회복시키는 데 쓰일 치료약이요, 염통과 간은 악마를 퇴치하는데 쓰인다고 하였습니다.
즉, 악한 귀신이나 악령에 사로잡힌 자 앞에서 그것들을 태워 연기를 피우면 그 악한 것들이 주던 괴로움이 깨끗이 사라지고 다시는 그 괴로움이 그 사람에게 찾아 들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토비아는 라파엘의 인도를 받아 그의 친척 라구엘의 집에 들어서게 되었습니다. 그는 라파엘이 일러준 대로 그의 친척 라구엘의 집에 들어서게 되었습니다. 그는 라파엘이 일러준 대로 그의 친척의 딸인 사라(Sarh)를 자신의 아내로 맞아들였습니다. 사라는 이미 일곱 번의 결혼 경험을 가진 여자였습니다.
그런데 불행히도 그녀는 그녀와 결혼한 신랑들이 한결같이 결혼 첫날 밤 비명에 감으로써 졸지에 과부가 되어야만 했습니다.
이제 토비아는 그녀의 여덟번째 신랑이 되었습니다.
그의 장인어른은 일찌감치 여덟번째 사위의 무덤을 파놓고 대기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날 밤에 토비아는 무사하였습니다.
오히려 그가 물고기로부터 취한 염통과 간을 태워 만든 연기로 인하여 사라의 몸 안에 들어 있던 귀신 아스모데우스 (Asmodeous)는 그녀의 몸에서 나와 애굽 땅 먼 곳까지 도망을 갔습니다.
마지막으로 물고기의 쓸개는 그의 아버지 토비트의 눈을 고치는 데 사용
○ 위경(Pseudepigrapha) : 거짓, 위증, 위서
- 말라기서와 신약 사이기간(중간기, 암흑기)에 쓰여진 책
- 위경은 익명의 저자가 마치 그 책을 에녹이나 바룩과 같이 유명한 고대의 인물들이 기록한 것처럼 거짓으로 꾸미고 있는 데서 생겨난 이름이다.
- 초기 유대교의 사상이나 생활배경이 기록되어 있음
그 당시 유대인들(유다지역에 살고 있던 유대인과 여러 지역에 흩어진 디아스포라 유대인) 사이에서 엄청난 분량의 종교적인 문헌들이 양산
- 위경의 주요 내용
․ 메시야/ 메시야 왕국의 도래/ 메시야 시대에 나타날 징조들
․ 이스라엘이 전 세계를 주관하는 메시야 시대가 도래할 것이며, 이 때에는 여러 가지 우주적인 징조들이 수반될 것이며, 이방 압제자들은 멸망
․ 죄의 기원, 천사들과 귀신들, 우상 숭배자들의 멸망
․ 사후의 세계에 대한 이야기(스올의 역할, 죽은 후의 사람의 본질 등)
○ 위경의 종류
- 에녹서
- 희년의 책
- 열 두 족장의 유언서
- 제3, 제4 마카베오서
- 아리스테아스가 필로크라테스에게 보내는 편지
- 바룩의 글
- 솔로몬의 시편
- 여선지의 예언서
- 모세의 승천기
- 도마복음서
- 유다복음서 : 올해 불거진 책, 서점에 출간된 책
- 도마복음서에는 예수님이 어릴적에 진흙으로 새를 만드니 새가 하늘로 날아갔다느니, 예수님이 저주를 하니 사람이 죽게 된다는 내용이 있음
- 유다복음서 : 유다와 예수의 밀약이 있다는 것 (복음적 내용은 없음)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
'기독교 이야기 > 기독교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만찬의 4가지 이론 (0) | 2016.09.02 |
---|---|
[스크랩] 성경의 공인과정 (0) | 2016.08.30 |
성도의 개인적 종말로서 육적인 죽음의 의미는 무엇인가? (0) | 2016.08.21 |
그리스도의 속죄의 의미와 필연성은 무엇인가? (0) | 2016.08.16 |
셈, 함, 야벳: 세계 3대 인종의 시조 (0) | 2016.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