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 세포의 수명… 그 비밀은

 

피부 2~4주·뼈 조직은 10년… 자주 쓰는 세포일수록 수명 짧아
염색체 양쪽 끝에 위치
텔로미어… 길이 짧아지면서 분열도 끝나

세포는 분열과 사멸을 반복한다.

인체를 이루고 있는 각종 세포들도 예외가 아니다.

때가 되면 알아서 새로운 세포로 교체가 이뤄진다.


세포를 하나의 독립된 개체로 본다면 피부에서 손톱, 발톱,

그리고 오장육부에 이르기까지 태어났을 때 지니고 있던 그것과,

지금의 그것은 전혀 다른 녀석들이라는 얘기다.


당신의 몸은 어제와 같을까,

아니 내일도 같을까?

     



세포는 분열 횟수에 한계가 있으며 결국에는 죽는다.

이 지극히 당연한 사실을 처음 알아낸 사람은

미국의 세포생물학자 레오나르 헤이플릭 박사다.


그는 지금으로부터 정확히 50년 전인

지난 1961년 인체세포 배양실험을 통해 태아의 세포는 약 100회,

노인은 약 20~30회 분열한다고 밝혔다.


그 전까지만 해도 과학자들은

척추동물의 세포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면

영원히 죽지 않고 분열한다고 믿었다.


현재 파악된 세포의 분열 횟수가 태아 90회,

노인 20회 정도라고 하니 그의 연구는 상당히 정확했던 셈이다.

그렇다면 우리 몸의 세포들은 모두 분열 횟수와 생존 기간이 같을까.

줄기세포를 연구하는 씨오투바이오의 고문인 오승관 박사에 따르면 전혀 그렇지 않다.


오 박사는 "일례로 자주 쓰는 세포,

즉 피부나 생식세포의 수명은 다른 세포들보다 훨씬 짧다"고 설명했다.

이는 분열 횟수도 마찬가지다.

오 박사는 "세포의 정확한 분열 횟수는

각 세포의 염색체 양쪽 끝에 위치한

염색소립(chromomere)인 텔로미어(telomere)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며

"텔로미어는 분열할 때마다 조금씩 짧아지는데

완전히 소실되면 세포분열도 끝난다"고 밝혔다.

물론 텔로미어가 무조건 짧아지는 것만은 아니다.

텔로머라아제(telomerase)라는 텔로미어 복구 효소로 인해

지속적인 복구가 이뤄지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길이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오 박사는 이것이 꼭 좋은 것만은 아니라고 말한다.

텔로머라아제가 지나치게 활발히 작용하면 세포가 잘 죽지 않는 일이 벌어지는데

암세포도 바로 이런 경우에 해당한다는 이유에서다.

어쨌든 텔로미어 덕분(?)에

인간의 몸을 구성하는 여러 세포들의 수명은 제각각이다.


이재일 건국대 의료생명대학 생화학과 교수는

이에 대해 이렇게 밝혔다.


"장기별로 다르기는 하지만 매 순간 세포가 새롭게 태어나기 때문에

우리 몸을 구성하는 세포의 나이는 항상 7~10세 정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기원기자
jack@sed.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