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2,000년의 역사에 가장 위대한 신학자를 든다면 어거스틴이라 할수 있다.
그는 사도 바울의 신학을 다시 발견한 사람이요 중세와 종교개혁 그리고 근대기독교 신학에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
어거스틴(Augustin)은 이교도의 부친과 기독교인 모친 사이에서 354년 11월 13일 북아프리카의 누미디아(Numidia)의
작은 도읍인 타가스테(Tagaste)에서 태어났다.그의 아버지 파트리쿠스(Patricus)는 하급관리였으며 어거스틴이 태어날 당시에
이교도였지만 어머니 모니카(Monnica)는 기독교인 이었다.
어머니의 종교적인 모범은 어거스틴의 유년시절에 깊은 감화를 주었으나,청년기에 방탕의 실을 걷게 되었다.
오랜 세월 동안 진리를 찾기 위한 방황에서 어거스틴은 바울의 은총론에 의해 결정적으로 방향전환을 한 바로다음인 397/98년 '고백록'을 썼다.
'고백록'은 고대후기의 가장 의미있는 기독교의 자서전이며 기독교의 가장 중요한 경건 서적들 가운데 하나이다.
어거스틴은 아프리카로 돌아가서 395년 히포 레기우스(Hippo Regius)에서 감독이 되었다.
430년 히포가이미 반달족에세 공경을 당하고 있었을 때 세상을 떠났다.
어거스틴은 '고백록'제1권 1장에서 "당신(하나님)은 우리를 당신을 향하도록 만드셨기에 당신 안에서 쉼을 찾기까지 우리의 마음은
안식을 얻지 못합니다"라고 하였다.
이제까지 자신이 찾았던 것들이 그에게 안식을 주었던 것처럼보였으나 그것은 일시적 이었을 뿐 참 안식은 오직 하나님 안에 있음을
자신의 체험을 통하여 깨달은 것이다.
고백록'은 세 부분으로 나눌수 있다. 제1-9권은 어거스틴이 387년 밀라노에서 회심할 때까지의 행로를 담고 있다.
어거스틴은 자기의 어린 시절을 회상하면서 결국 이면에서는 하나님이 일하시고 인도하셨음을 찬양하고 있다.
그는 열여섯 살 되던 때의 죄의 경험,마니교를 믿어보려고 하였지만 그의 지적인 질문을 대답해줄 수 없었음을 깨닫고 마니교를 버렸다. 카르타고(Karthago)와 로마(382년) 그리고 밀라노(385년)에서 수사학을 가르쳤고 상당한 인기를 얻었다.
밀라노에서 암브로시우스의 능력있는 설교를 접하게 되었는데 그의 설교내용에 승복하기 보다는 하나님의 유창한 설교로
생각하였다.
결국 어거스틴은 신약성경 로마서 13장13절을 통해 회심하게 된다.
회심이후 세례를 받게 되고, 고국으로 돌아가는 도중에 어머니 모니카의 죽음을 맞게 된다.
제10권에서 어거스틴은 고백을 작성한 시간까지의 자신의 현재의 정신적 상태를 서술하고 있다.
여기에서 그는 인간의 기억력, 참된 행복, 인간이 당하는 여러 가지 시험에 대하여 논하고 있으며 중보자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제11-13권은 창세기 1장에 관해 주석을 한 것이다.
창세기 주석의 문제들은 어거스틴을 언제나 다시 몰두하게 하였다.
특히 악이 "어디에서"오는가에 대한 질문이다.
또한 여기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들은 시간의 본질 ,삼위일체 하나님,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인간의 위치와 사명 그리고 선한
하나님이 창조한 세계의 좋음을 이야기하고 있다.
성 어거스틴 혹은 아우구스티누스(영어로 Augustine,라틴어로 Augustinus)는 A.D.354년 지금 알제리아인 로마령 북아프리카
타가스테에서 이교도인 아버지 파트리키우스(Patricius)와 독실한 그리스도인인 어머니 모니카에서 태어났습니다.
어거스틴은 16세에 카르타고에 도착하여 여러가지 죄를 범했다고 '참회록'에서 말했습니다.
17세나 18세에 한 부인(첩)과 함께 살면서 20세가 되기 전에 한 사생아를 가진 아버지가 되었습니다.
이때쯤 어거스틴은 종교적이고 철학적인 마니교와 관계를 가졌는데, 마니교는 빛과 어두움, 신과 물질이 영원하다는 이원론이었습니다.
어거스틴은 마니교가 자기 어머님이 믿는 기독교보다 더 우월하다고 생각하고, 마니교는 도덕적인 삶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자기가 원하는대로 살았습니다. 20대 후반에 가서 마니교 지도자들이 자기의 질문에 대하여 대답하지 못하는 것을 발견하고,
마니교에 대하여 심각하게 의심하게 되었습니다.
A.D.383년에 어거스틴은 부인과 아들과 함께 지중해를 건너서 수사학을 가르치기 위하여 로마로 갔습니다.
그의 학생들이 수업료를 잘 내지 않으니 대중적인 연설자의 지위를 얻기 위하여 A.D.384년에 로마를 떠나 밀라노로 가서 밀라노의
감독인 암브로시우스(암브로스)를 만나게 되며, 그는 어거스틴이 기독교를 반대하는 것은 믿음에 대한 오해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하였습니다. 어거스틴은 마니교를 버리고 잠시 회의론자가 되었습니다. 신플라톤주의자인 플로티누스(Plotinus)의 책을 읽고
그리스도인이 되는데 방해가 되는 지적인 장애물들을 제거할 수가 있었습니다.
그의 어머니 모니카는 어거스틴의 중생을 위하여 10여년 기도하는 중 암브로시우스 감독을 찾아가서 기도를 포기할려고 하니,
암브로시우스는 "눈물의 자식은 망하지 않습니다."하면서 계속 기도하라고 격려했습니다.
어거스틴은 수사학의 대가이며 유명한 감독인 암브로시우스의 설교를 경청했습니다.
A.D.386년에 로마 외곽에 있는 한 별장에서 어거스틴은 기독교 역사에 있어서 중요한 중생을 합니다("참회록" 8권). "들어서 읽어라. 들어서 읽어라."(Take up and read; Take up and read.)는 소리를 듣고 책상 위에 있는 로마서를 들고 눈이 가는 곳을 읽었습니다.
"낮에와 같이 단정히 행하고 방탕과 술취하지 말며 음란과 호색하지 말며 쟁투와 시기하지 말고 오직 주 예수 그리스도로 옷입고 정욕을 위하여 육신의 일을 도모하지 말라"(로마서 13장 13절-14절). 어거스틴은 더 읽을 필요가 없었습니다.
바로 자기에게 필요한 하나님의 말씀이라 생각했습니다. "믿음의 빛이 나의 마음에 충만하고 모든 의심의 어두움이 사라지는 것 같았습니다."라고 어거스틴이 고백했습니다. 이때쯤 그들의 아들 아데오다투스(Adeodatus)를 어거스틴에게 남겨두고 북아프리카로 돌아간 부인과 관계를 어거스틴은 청산했습니다.
A.D.387년 어거스틴이 밀라노에서 셰례를 받은 후, 모니카와 아들과 함께 북아프리카로 돌아갈 결심을 합니다.
모니카가 56세에 별세하기 직전에, 로마로 가는 항구인 오스티아(Ostia)에서 어거스틴과 모니카는 놀라운 환상을 봅니다.
어거스틴과 아들 아데오다투스는 여행을 계속하여 북아프리카에 도착하나, 어거스틴이 소망하고 아주 사랑하는 아들 아데오다투스가
죽었습니다. 중생한 후 어거스틴은 철학과 신학과 성경을 연구했습니다. A.D.391년에 신부로 안수받고, A.D.395년에 '히포의 감독'(bishop of Hippo Regius)으로 임명됩니다(히포: 지금 알제리아의 Annaba).
A.D.400년에 어거스틴은 "참회록"(Confessions)을 완성합니다. A.D.410년에 로마가 약탈당하고, A.D.413년에 '신국'(City of God)을 쓰기 시작하여 A.D.426년에 완성합니다. 반달족(Vandals)이 히포를 점령하는 중 A.D.430년에 별세합니다
성 어거스틴의 저술은 철학과 신학과 변증에 있어서 광범위하게 많습니다. 신학사전에 기록된 것만해도 70여편이나 됩니다.
성 어거스틴은 기독교 신학의 틀을 만들었다고 보며, 천주교와 개신교의 신학에 놀라운 공헌을 하였으며, 마르틴 루터를 비롯하여
종교개혁을 일으키게 하였습니다. 그의 방대한 저술과 사상과 신학과 철학을 요약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중요한 내용과 어록을 정리하여 기록하고 유익하기를 바랍니다.
A.D.400년에 완성한 "참회록"(The Confessions)은 어거스틴의 최대 작품으로 세상에 가장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이 책은 단순한 전기가 아니고, 어거스틴의 죄와 허물을 참회하고, 그를 히포의 감독이며 위대한 신학자와 성자로 만든 하나님의
놀라운 은혜를 찬양하는 것입니다. "어거스틴은 '참회'라는 단어를 두가지 의미로 사용했습니다: 그의 많은 죄를 인정하고,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그의 죄로 부터 구원해주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었습니다."(Augustine used the word confession in two senses: to acknowledge his sins but, more important, to glorify the God who had delivered him from his sins.) 그의 작품은 거의 전부가 라틴어로 쓰여졌을 것입니다.
어거스틴은 그리스어를 통달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참회록"도 여러가지 영어 번역본이 있습니다.
"참회록"은 이렇게 시작합니다: "주여, 당신은 위대하십니다. 크게 찬양을 받으실 분입니다. 당신의 능력은 크며, 당신의 지혜는
무한합니다(시편 145편 3절, 147편 5절). 인간은 당신을 찬양하기를 원합니다. 그러나 인간은 당신이 창조하신 작은 조각입니다.
인간은 그의 죽음과 죄의 증거와 '당신이 교만한 자를 대적하신다'(야고보서 4장 6절, 베드로전서 5장 5절)는 증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인간은 당신이 창조한 작은 조각이지만, 당신을 찬양하기를 원합니다. 당신은 우리가 당신을 찬양할 때에, 즐거워 하도록 우리를 깨웁니다. 당신은 우리를 당신을 위하여 지으셨기 때문에, 우리의 마음은 당신 안에서 안식할 때까지 불안합니다
"당신의 명령을 이행할 수 있도록 은혜를 베푸시고,당신의 뜻을 이행하도록 명령하소서."
"신국"(神國)(The City of God)은 A.D. 410년에 서 고오트 왕 알라릭(Alaric)에 의하여 로마가 약탈당하자 비그리스도인들은 기독교
때문이라 비난했습니다. 여기에 반박하기 위하여 쓰면서, 어거스틴은 기독교 역사철학을 다루게 되었습니다.
이 세상에는 신의 도시(나라)(the City of God)와 인간의 도시(나라)(the City of Man)가 공존한다고 했습니다.
마지막 심판 때에 두 나라는 마침내 천국과 지옥으로 갈라지게 된다고 했습니다.
"두 가지 사랑이 두 개의 도성을 만든다. 하나님을 배제하는 자기 사랑이 지상의 도성을 만들고, 자신을 배제하는 하나님 사랑이
천상의 도성을 만든다. 지상의 도성은 자신을 높이고, 천상의 도성은 하나님을 높인다. 지상의 도성은 인간의 칭찬을 구하고,
천상의 도성에서는 양심에 대한 하나님의 증언이 가장 큰 칭찬이다. 지상의 도성은 머리를 빳빳이 든 채 자기 영광을 구하고,
천상의 도성은 하나님께 '주는 나의 영광이시요 나의 머리를 드시는 자이시니이다'라고 고백한다(시편 3편 3절)."
영국의 수도사 펠라기우스(Pelagius)는 어거스틴과 동시대 사람으로, 로마에 오고 이어서 지중해 지역을 여행하였습니다.
펠라기우스는 원죄를 부인하고, 인간은 의롭게 살 수 있으며, 인간의 구원은 하나님의 선물이 아니라, 인간이 노력하여 구원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하여; 어거스틴은 인간은 다 죄인이며, 하나님의 은혜로만 구원을 받을 수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인간 의지에 대한 원죄의 영향을 세 단계로 말했습니다.
1)타락하기 전 아담의 상태를 라틴어로 "Posse non pecare"(he was able not to sin),"그는 죄를 안 지을 수 있었다",
2)아담의 타락 후는 "Non posse non pecare"(they are not able not to sin), "그들은 죄를 안 지을 수 없다"
3) 천국에서 구속받은 사람은 "Non posse pecare"(they will not be able to sin), "그들은 죄를 지을 수 없을 것이다"하였습니다.
마니교도들은 믿음을 조롱하고, 이성으로 알 수 있는 것을 믿으라고 주장하자,어거스틴은 믿음은 지식에 있어서 필요불가결한 것으로 보고, "Credo ut intelligam: I believe in order that I may know. "나는 알기 위하여 믿는다" 하였습니다.
마니교는 선과 악의 이원론적인 싸움으로 악을 설명했으나,어거스틴은 "선의 부재가 악"으로 보고,
하나님의 선이 지배하는 일원론으로 보았습니다.
북아프리카의 도나티스주의자들은 하나님의 성직과 성례는 사람의 인격에 따라 효력이 달라진다고 주장하여,
어거스틴은 교회와 성례는 하나님의 거룩하신 은혜로 결정된다고 하면서 교회론을 밝혔습니다.
1)교회는 하나다. 2) 교회는 거룩하다. 3) 교회는 전 세계적이고 보편적이다. 4) 교회는 사도적이다.
"자신을 기쁘게 하는 자는 바보를 기쁘게 하는 자다. 자신을 기쁘게 하는 자는 바보이기 때문이다."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
'기독교 이야기 > 기독교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아의 홍수에 관한 사실 정리 (0) | 2025.02.25 |
---|---|
크리스천이라면 알아야 할 10가지 중요한 원칙 (0) | 2025.02.24 |
예배의 기본자세 (0) | 2025.02.19 |
성경에 나타나는 복음의 종류 (0) | 2024.10.06 |
태초란 언제인가? (0) | 2024.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