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제의 목적과 소제를 드리는 방법


소제(Grain Offering)이 어의

 

제를 뜻하는 히브리어 ‘민하'( )는 ‘분배하다’, ‘수여하다’라는

의미의 어근 ‘마나'( )에서 유래한 것으로

‘헌물’, ‘조공’, ‘희생 제물’을 뜻하는데

특별히 ‘피 없는 곡물 제사’에 사용되어 말 그대로

‘소제’, 또는 ‘피 없는 곡물 제사’를 뜻한다.


- 제물의 종류
소제에 드려진 제물의 종류는 모두 네 가지였다.


그 첫째는 ‘고운 가루’로서 여기에는 ‘기름’과 ‘유향’이 첨가된다.


둘째는 누룩을 넣지 않고 ‘고운 가루’에 ‘기름’을 섞어 만든 ‘무교병’으로서

무교병을 만드는 방법은 ‘화덕에 구운 것'(레2:4)과 ‘번철에 부친 것'(레2:5),

그리고 ‘솥에 삶은 것'(레2:7)의 세 가지였다.


세번째는 ‘처음 익은 곡식’이었으며,


네번째는 ‘첫이삭’이었는데 특별히 첫이삭을 소제물로 드릴 때는

볶아 찧은 것에다 기름과 유향을 드려야 했다.


소제의 방법


소제를 드리는 방법은 제물을 제단으로 가져오기 전에

집에서 제물을 준비하는 것에 더욱 주목해야 하는데

그것은 제물을 준비하는 과정 자체가

소제를 드리는 방법에 속하기 때문이다.


첫째, 고운 가루의 소제물일 경우에는 그 위에 기름을 붓고

유향을 놓은 후 제사장에게로 가져오는데

제사장은 고운 가루 한 줌과 모든 유향을 취하여 기념물로 제단 위에 불사른 후

나머지는 자신의 음식으로 취한다.


둘째는, 무교병을 소제물로 삼을 경우인데

이 때는 화덕에 구운 것과 솥에 삶은 것은 고운 가루에 기름을 섞어 만들고,

번철에 구울 경우에는 고운 가루를 누룩 없이 기름과 섞어 구운 후 조각으로 나누고

그 위에 기름을 붓는다.

이러한 무교병의 소제물 역시 제사장에게로 가져가면

제사장은 그것 중 기념할 만큼만 취하여 여호와께 화제로 드리고

나머지는 자신의 음식으로 취하였다.


셋째는, 첫이삭을 드릴 경우인데 이 때는 반드시 그 곡식을 볶아야 하며

그 위에 기름을 붓고 유향을 더한 후 제사장에게로 가져가야 하며

제사장은 그중 얼마와 모든 유향을 취하여 여호와께 화제로 드린 후

나머지는 자신의 음식으로 취하였다(이때의 나머지에 대해 성경의 특별한 언급이 없지만

소제물이 제사장의 음식으로 주어졌다는 일반적인 규례를 따를 때

첫이삭의 소제물 역시 제사장의 음식으로 주어진 것으로 보아야 한다).


한편 이러한 모든 소제물에 반드시 지켜야 할 법칙이 한 가지 있는데

그것은 모든 소제물에는 누룩과 꿀을 넣지 말고 반드시 소금을 치라는 것이었다.(레2:11,13)


소제의 목적


소제의 목적 역시 두 가지로 볼 수 있는데


첫째는 우리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물질을 공급하여 주시고

보호하여 주신 하나님의 은혜와 축복에 감사하며 경배 돌리기 위함이며,


둘째는 자신의 땅을 가지고 있지 않은 제사장과

레위인에게 음식을 제공하여 그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었다.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