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의 70인 역경에만 있는 15개의 문서와 제2경전 11개 문서의 성격과 내용
천주교의 “제2경전”이라고 하는 것은 1546년 트리엔트 종교회의에서 헬라어 70인역 구약 성경사본에만 있고
히브리어 마소라 구약성경사본에는 없는 15개의 성경문서 가운데 11문서를 정경으로 공포하면서 이 추가된 문서들에 붙친 명칭입니다
1. 구약의 외경 15문서
마소라 히브리어 구약성경이 39권으로 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개신교는 이 성경책들만 인정)알렉산드리아의 오리겐(185?-254?)에 의해 편집된 헬라어 70인역성경에는
15권의 문서가 더 추가되어 있습니다.
그 책 이름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토비트 (Tobit= Tobias) ② 유디트 (Judith) ③ 솔로몬의 지혜 (Wisdom of Solomon) ④ 바룩 (Baruch) ⑤ 예레미야의 편지 (The Letter of Jeremiah) ⑥ 마카비서 상 (1 Maccabees) ⑦ 마카비서 하 (2 Maccabees) ⑧ 수산나 (Susanna) ⑨ 세 젊은이의 노래 (The Song of Three Young Men) ⑩ 벨과 용(뱀) (Bel and Dragon) ⑪ 에스더 속편 (Additition to Esther) ⑫ 벤시락 또는 집회서 (Ben Sirach, Ecclesiasticus) ⑬ 에스드라스 상 ( 1 Esdras) ⑭ 에스드라스 하 ( 2 Esdras) ⑮ 므낫세의 기도 (The Prayer of Manasseh)
로마가톨릭교회는 이 70인역 헬라어 구약성경을 쓰면서 1546년 트리엔트 종교회의에서 상기한 70인역 구약성경의 15문서 가운데서 3권의 책 ⑬ 에스드라스 상 ⑭ 에스드라스 하 (1 2 Esdras)와 ⑮ 므낫세의 기도 (The Prayer of Manasseh)를 제외시키고 나머지 12문서를 “제2경전”으로 승격시켜 천주교의 성경이 46권이 되었습니다.
천주교 성경이 46권이라고 하게 되는 것은 에스더서에 추가된 “에스더 속편”과 다니엘서에 추가되어 있는 “세아이의 노래” “수산나” “벨과 용”과 또한 바룩서에 추가되어 있는 “예레미아의 편지”를 독립된 문서로 보지 않기 때문입니다
2. 구약 외경 각 책의 내용과 제작 연대
구약 외경은 책에 따라 역사, 묵시, 지혜, 교훈 등 여러 가지 문학적 성격을 띠는데,
그 내용과 생성 연대를 대강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정경의 책에 추가로 삽입 되어 덧붙은 문서
(1) 에스더 추가 부분
헬라어 성경의 에스더에서는 다음 여러 가지 내용이 덧붙어 있습니다.
모르드개의 꿈(1장 앞에 18절), 유대인들을 몰살시키라는 아하수에로의 칙령(3장13절과 14절 사이 7절),
모르드개가 에스더에게 전해 온 말(4장8절과 9절 사이 3절),
모르드개와 에스더의 기도(4장17절과 5장1절 사이 29절),
에스더가 아하수에로 임금을 배알하게 됨(5장1절과 2절 사이 9절과 5장2절과 3절 사이 4절),
유대인의 복권에 관한 아하수에로의 칙령(8장12절과 13절 사이 24절),
9장19절과 20절 사이에 1절, 모르드개가 꾼 꿈의 해석(10장3절 뒤에 11절)이 그것입니다.
이 추가 부분들은 주후 70년 이전에 생겨난 것이 분명하지만,
주전 167-114년 사이 서로 다른 때에나 또는 주전 1세기 어느 때에 덧붙여 졌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2) 다니엘서 추가 부분
다니엘 3장23절과 24절 사이 68절에 걸쳐 길게, 불길 가운데서 다니엘의 친구 아사랴가 부르는 찬송('아사랴의 찬송')과 또 세 친구가 함께 부르는 찬송('세 젊은이의 찬송')이 나오고, 맨 뒤 12장 다음에 수산나에 대한 이야기(64절 분량) 및 벨과 뱀[또는 용]에 대한 이야기(42절 분량)가 들어 있습니다.
아사랴의 기도는 독자들의 관심을 악한 임금에게서부터 순교에 직면한 유대인들에게로 돌리게 하면서,
오직 한 분 하나님이 계시고 이 하나님이 의로우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수산나 이야기는 덕망 높은 여인에 관한 것인데, 두 노인이 수산나에게 욕정을 품지만 수산나가 이를 거절하고,
이에 그들이 수산나를 고발하나 다니엘이 반대 심문에서 그들이 거짓말하고 있다는 점을 밝혀내고 수산나를 건져낸다는 이야기입니다.
벨과 뱀의 이야기는 두 부분으로 되어 있습니다.
하나는 우상 벨에게 바친 음식을 먹는 것은 우상이 아니라 제사장들이라는 사실을 다니엘이 어떻게 증명하는지를 묘사합니다.
다른 하나는 다니엘이 우상을 부순 죄로 사자굴 속에 들어가 굶주려 죽게 되었을 때
예언자 하박국이 천사의 지시와 도움을 받아 다니엘에게 먹을 것을 갖다 주고 다니엘은 풀려난다는 이야기입니다.
이 추가 부분들은 주전 165-100년에 생겨났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별개의 책으로 된 외경들
(1) 토비트(14장 분량)
주전 180년 경 저작되었을 이 책에는, 특히 하나님은 율법에 충실한 자들을 참으로 도우신다는 점을 가르치는 소설 같은 이야기가 들어 있습니다.
등장 인물로는 니느웨에 사로잡혀 사는 의인 토비트, 그의 아내 안나, 그의 아들 토비아, 잇달아 남편 일곱을 잃은 신부 사라, 첫날밤에 사라의 신랑들을 죽이는 악한 귀신 아스모데오, 이를 물리치는 천사 라파엘이 나옵니다.
(2) 유딧(16장 분량)
주전 150년 경 저작되었을 유딧서는 여걸 유딧이 앗수르 장군 홀로페르네스를 물리치고 그의 목을 자름으로써 자기 조국을 어떻게 구해내는지를 알려 주는 이야기입니다. 이 책은 특히 침략해 오는 적으로 드러나는 악을 거부하고 토라에 복종하도록 유대인들을 격려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런데 9장에 나오는 유딧의 기도에 보면, 놀랍게도 말로 원수를 속이는 것을 허락해 달라는 내용이 들어 있고 또한 이런 기도가 응답되어 유딧이 기만술로 적진에 요녀로 변장하고 들어가 적장을 제거하는 것으로 기록되어져 있습니다 .
(3) 지혜서(19장 분량)
'솔로몬의 지혜'라는 이름이 붙어 있지만 실제로는 주전 1세기 경에 쓰인 듯한 이 책에는 헬라적이고 애굽적인 개념과 유대의 전통 지혜론이 뒤섞여 있습니다.
잠언에서 볼 수 있었듯이 이 책에서도 지혜가 의인화되어 있습니다.
(4) 집회서(51장 분량)
'(예수 벤) 시락(의 지혜)서'라고도 불리는 이 책을 '집회서'(Ecclesiasticus) 곧 '교회의 책'이라고 한 것은 기독교회의 전통을 따른 것인데,
이 책은 주전 180년 경 예루살렘의 보수적인 랍비가 지은 것으로 추정합니다.
이 책에서는 유대교를 변호하고 헬라 문화를 비판합니다.
성전과 율법을 공경하고, 의롭고 자비로우신 한 분 하나님을 믿으라는 것이 그 중심 주제입니다.
(5) 바룩서(6장 분량)
예레미야의 친구이자 비서이자 제자인 바룩의 이름이 붙어 있는 이 책은 주전 1,2세기에 생긴 것으로 보이는데,
마지막 6장은 '예레미야의 편지'로 성격이 다른 문서로 따로 다루기도 합니다.
이스라엘의 죄 때문에 예루살렘이 파괴되었다는 점을 인정하고 하나님께 용서를 비는 말로 시작하여,
지혜를 찬양하는 시문을 거쳐, 예루살렘으로부터 어떤 탄식 소리가 들리는지를 묘사합니다.
72절이나 되도록 길게 쓴 이 편지는 우상을 두려워하거나 숭배하지 말라고 권고하는 내용과 형식의 글인데, 예레미야 10장1-16절의 영향을 받은 듯 합니다.
주전 300년경 저작되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6) 마카베오상(16장 분량)
주전 2세기말에 저작되었을 이 책에서는 마카베오 집안이 군사적인 업적을 세워 요한 히르카누스의 통치에 이르게 된 것을 칭송합니다.
저자는 하스몬 왕조와 친한 사람으로 추정합니다,
(7) 마카베오하(15장 분량)
마카베오상의 연속이 아니라 그 1-7장의 내용을 다른 식으로 자세히 다루는 마카베오하서는 주전 2세기 말이나 1세기 초에 기록되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이 책에서는 키레네 사람 야손의 역사를 간추려 다루는 가운데. 특히 12장을 보면 유다 마카비(Judas the Maccabean)가 기도회를 연 후 율법에서 금하는 바,
우상을 부적으로 지닌 채 전사한 자들의 죄가 용서받도록 그들을 위하여 기도하는 것과 또한 그들을 위한 속죄의 제사에 쓰일 비용으로 많은 돈을 모금하였다는
기사가 나옵니다.
이 책은 마카베오상보다 훨씬 더 신학적인 성향을 띠면서 몸의 부활과 순교의 효력과 기적의 계시적인 차원을 강조하나,
하스몬 왕조에 대해서는 호의를 품고 있지 않습니다.
칠십인경에 들어 있지만 1546년 “제2경전”에서 제외된 책
(1) 에스드라스 상
이 책은 바벨론 포로 이전인 제1 성전시대 즉, 주전 621년부터 유대인들이 포로에서 귀환했던 제2 성전시대인 주전 444년까지 이스라엘 포로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저자는 제1 성전시대에 최고 종교개혁자였던 요시야 왕 시대부터 제2 성전시대 역시 최고 종교개혁자였던 에스라시대까지의 역사를 묘사하면서 요시야 때 정화됐던
제1 성전이 왜, 어떻게 파괴됐는지 그리고 어떻게 재건됐는지를 서술하고 있습니다.
(2) 에스드라스 하
에스드라스 하서는 두 부분으로 나뉘어지는데 첫째부분(1~2장)은 하나님의 백성에 대한 심판과 새 백성에 대한 약속을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게 주는 예언 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둘째 부분(3~14장)은 에스라가 본 일곱 개의 환상으로 되어있으며, 마지막 부분(15~16장)은 이 땅에서 곧 일어날 재앙과 하나님에 대한 구원을 첫째 부분과 같은
형식으로 취하고 있습니다.
(3) 므낫세의 기도
죄인의 회개와 하나님의 용서를 구하는 기도의 형식으로 역대기하 33:11-17에 기록된 유대의 악한 왕 므낫세의 회개에 배경을 두고 있습니다.
전제적인 내용을 고려할 때 제2성전 시대에서 유래한 듯합니다
3. 개신교에서 헬라어 70인역경의 외경을 인정하지 않는 이유
개신교는 왜 이 헬라어 70인역경의 추가된 15문서를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는가?
구약의 외경서들을 배척할 수밖에 없는 이유들이 있습니다.
① 우선 이 문서들이 히브리어 성경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점입니다.
히브리어 구약성경사본에는 이 문서들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그리스어 70인역경에만 있는 문서들 이라는 것들입니다.
② 70인역경에만 있는 이 외경들은 성경의 예수님과 예수님의 사도들이 단 한번도 인용하거나 언급한 바가 없는 것들입니다.
예수님과 제자들은 단 한 차례도 외경을 인용하신 것은 고사하고 그 존재를 인정하신 적도 없습니다.(일부 천주교인들이 신약성경의 예수님과 사도들이 인용한 증거라고 제시하는 외경의 내용들은 다른 일반적인 책에서도 인용했다고 볼 수 있는 지극히 평범한 윤리 도덕적인 교훈들로 문구절와 고유명사까지도 다 같아 분명히 외경에서
인용한 말씀이라고 볼 수 있는 확실한 증거의 구절은 하나도 없습니다)
③ 초대교회에서도 이 외경서들은 성경으로 인정하지 않았고 다만 신앙의 교훈을 위해서 참고로 읽었을 뿐입니다.
④ 마카베오상의 저자는 당시 유대인 가운데 선지자가 없었다고 말하였습니다(마카베오상 4:46; 9:27; 14:41).
선지자가 없었다는 것은 곧 외경서가 영감된 책이 아니라는 뜻입니다.
마카베오서 저자 자신도 영감을 주장하지 않았습니다.
⑤ 거짓교리를 가르치고 있기 때문입니다.
히브리어 성경과 모순되는 거짓 교리들이 나타납니다.
이는 흩어진 유대인들이 이교의 신앙에 오염되고 접합된 결과라고 하겠습니다
거짓말을 정당화하여 가르치거나(유딧 9:10), 물고기 타는 냄새가 모든 귀신을 쫓아 버린다고 말한다거나(토비트 6:1-8),
죽은 사람들의 기도를 들어 달라고 하나님께 기도하고(바룩 3:4),
죽은 자들이 죄의 결박에서 해방되기 위하여 대신 기도할 자를 찾고(마카베오하 12:43-45),
연옥을 말합니다(지혜서 8:9-20).
그러나 이는 히브리어 성경의 기본신앙에 위배되는 것입니다,
모세 오경에는 죽은 영혼을 불러오고 죽은 영혼과 대화하는 강신술을 부리는 무당들을 귀신을 섬기는 자들로서 돌로 쳐 죽이라고 말씀하고 있는 것입니다
⑥ 역사와 지리적인 기록들이 실제와 틀린 것들이 많습니다.
⑦ 성경에서 찾아볼 수 있는 영적 감화와 탁월성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신구약 성경의 점진적인 계획과 상호 관련성이 없습니다.
역사적인 과오들, 불확실한 일들, 목적이 불분명한 유치한 가공의 이야기와 담화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⑧ 그리하여 로마 가톨릭교회가 이 헬라어 70인역을 390년에 히에로무니스(제롬)에 의해 최초로 라틴어로 번역할 때에도 이 외경들에 대해서는 혹평하고 정경으로 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히에로니무스가 처음으로 라틴어로 성경을 완역할 때에 주로 사용한 원본 성경은 70인역 성경이 아니라,
15권의 외경이 포함되지 않은 히브리어 성경이었습니다.
그가 번역한 라틴어 성경이 8세기에 이르기 까지 '불가타(Vulgata, 일반본)'성경으로 널리 공인을 받아 예배에 쓰여지게 된 것입니다.
15권의 외경이 소외된 성경이 공인된 것입니다.
그러나 11세기에 들어오면서 부터 점차 옛 라틴어 번역본들이 섞여들면서 불가타역에도 외경들이 포함하게 되었습니다.
⑨ 종교 개혁기에 기독교도들도 이들 구약의 외경서를 성령의 영감으로 씌어진 책이 아니므로 경전이 될 수 없고,
다만 구약시대 교인들의 신앙이나 교훈을 참고하기 위해 읽을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⑩ 영국 성공회도 1611년 제임스왕역(KJV) 성경에서 개신교와 같이 처음에는 14권의 구약외경서를 포함하였으나 이후 삭제하였습니다.
4. 외경의 오류들
① 집회서 38:24~34를 보면 농부, 기술자, 대장장이, 옹기장이 또는 그와 비슷한 다른 종류의 일을 하는 모든 사람들은 성경 학자가 될수 없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이는 성경의 사회 직업과 신분의 고하에 관계없이 하나님의 부름을 받고 쓰임을 받은 하나님의 일꾼들의 이야기와는 상반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구절들을 통해서 노동 계층의 사람들을 업신여기는 랍비들의 교만을 엿보게 됩니다.
랍비들은 노동 계층의 사람들 없이 세상을 지탱해 나갈 수 없음을 인정하면서도,
그들이 "교회"안에서 지도자가 되기에는 부적합하다고 선언함으로써 자신들의 우월성을 자랑했던 것입니다.
② 솔로몬의 지혜서에서 그 제자가 자신을 가리켜 묘사한 글을 보면 그 내용 역시 오해의 여지가 많고 허황되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됩니다.
저자는 자신을 "좋은 기질을 타고 난 어린이였으며 훌륭한 영혼을 받은 자였다"라고 밝히면서,
따라서 자신은 더럽혀질 수 없는 몸을 부여 받았노라고 말합니다.(8:20)
이상과 같은 그의 말을 받아들일 때 그는 원죄가 전혀 없다는 것과 그 영혼은 이미 육체와 결합되기 이전부터 존재했다는 인상을 받게 됩니다.
기독교회가 초대교회때 부터 외경을 정경의 일부로써 받아들이지 않는 이유는 그 가르침의 대부분이 성경적이지 않으며 기괴하고 허황되기 때문입니다.
외경에 나오는 대부분의 이야기는 성경의 내용과는 거리가 먼 것들입니다
③ 예를 들면, 토비트서(the Book of Tobit)에 나오는 토비아(Tobias)의 이야기는 참으로 허황됩니다.
눈 멀고 가난한 처지가 된 토비트는 그의 아들 토비아를 메대(Media)에 있는 채권자 가바엘에게 보내어 약간의 돈을 빌려 오도록 합니다.
한 사람이 토비아와 함께 길을 떠나는데 나중에 그는 천사 라파엘(Raphael)임이 밝혀졌습니다.
그 둘은 길을 가다가 밤이 되어 티그리스 강 가에서 하룻밤 묵게 되었는데.
마침 토비아가 발을 씻으려고 물 가에 내려갔을 때에 한 커다란 물고기가 물에서 뛰어올라 그의 발을 잘라먹으려고 하였습니다.
그 때에 라파엘은 고기를 잡아 죽이되, 그 쓸개와 염통과 간은 먹지 말고 잘 보관하라고 했습니다.
여행을 계속하는 중 토비아는 그 물고기를 죽여서 먹고 남겨 둔 물고기의 쓸개와 염통과 간을 무엇에 쓸 것인지를 물었습니다.
라파엘은 대답하기를 쓸개는 눈이 먼 자의 시력을 회복시키는 데 쓰일 치료약이요, 염통과 간은 악마를 퇴치하는데 쓰인다고 하였습니다.
즉, 악한 귀신이나 악령에 사로잡힌 자 앞에서 그것들을 태워 연기를 피우면 그 악한 것들이 주던 괴로움이 깨끗이 사라지고 다시는 그 괴로움이 그 사람에게 찾아 들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런 미신적이고 우수꽝스런 이야기들이 외경에 여럿 들어 있는 것입니다
구약의 경전
</EMBED> |
에 와서는 경전이 확대되고 재편집된다. 확대되었다는 말은 히브리어 경전에 기독교의 경전인 신약 과 함께 구약과 신약 중간기에 형성된 제2경전이 첨가된 것을 일컫는 것이었고, 재편집되었다는 것은 이와 같은 첨가 외에, 히브리어 경전 24권을 70인역을 따라서 39권으로 나누었다는 것이다. 히브리어 경전의 ‘사무엘기’ ‘열왕기’ ‘역대지’를 ‘사무엘기상’ ‘사무엘기하’ ‘열왕기상’ ‘열왕기하’ ‘역대지상(歷代誌上)’ ‘역대지하(歷代誌下)’로 나누고, ‘에스라-느헤미야기’를 ‘에스라기’와 ‘느헤미야기’로 나누고, 소예언서 ‘열두 책’을 열둘로 나누어서 구약을 모두 39권으로 재편집하였다. 구약성서는 일찍부터 두 언어로 전승되어 왔다. 하나는 히브리어로 기록된 구약성서이고, 다른 하나는 기원전 3세기부터 히브리어에서 그리스어로 번역된 그리스어역 구약, 일명 칠십인역(LXX)이다. 초기 기독교는 히브리어 구약성서보다는 그리스어 구약성서를 경전으로 받아들였는데, 거기에는 히브리어 구약성서에는 없는 소위 외경(外經)이라고 하는 책들이 더 편집되어 있어서 가톨릭의 성서가 된다. 개신교에서 외경이라고 부르는 것을 가톨릭에서는 ‘제2경전(第二經典,deuterocanonical)’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히브리어 구약성서와 그리스어 신약성서를 합친 성경을, 가톨릭에서는 ‘제1경전’ 혹은 ‘원경전(原經典,protocanonical)’이라고 한다. 제2경전에 들어가는 책은 역사적으로 변천되어 왔다. 또 편집 형태에 따라,책의 권 수도 일정하지 않다. 1977년에 나온 우리나라의 신.구교가 번역한 '공동번역성서'(1977)에 보면, ‘토비트’ ‘유딧’ ‘에스델(제1경전 에스더기의 추가부분)’ ‘지혜서’ ‘집회서’ ‘바룩서’ ‘다니엘서(제1경전 다니엘의 추가부분)’ ‘마카베오상’ ‘마카베오하’ 이상 9권이다. ‘바룩서’ 안에는 ‘예레미야의 편지’가 마지막장으로 편집되어 있고, ‘다니엘서의 추가 부분’에는 ‘세 젊은이의 노래’ ‘수산나’ ‘벨과 뱀’이 들어 있다. 영어개역표준성서(Revised Standard Version) (1957)에 실린 제2경전에는 ‘제1에스드라’ ‘제2에스드라’ ‘므낫세의 기도’가 더 들어 있다. 제2경전에 속하는 이러한 책들은 본래 유대교가 번역한 그리스어역 구약인 ‘칠십인역’에 들어 있던 것들을 초기 기독교가 받아들이고, 그것이 그대로 가톨릭의 경전이 된 것이다. 그러므로 제2경전에 속한 책들이 제1경전과 합본된 것은 기독교의 작업이 아니라 유대교의 경전사와 관련된 것이다. 에 익숙하지 않던 초기 기독교가 그리스어로 번역된 ‘칠십인역’ 구약을 읽게 되면서 거기에 들어 있는 제2경전에 속한 책들까지 함께 받아들이게 된 것이다. 고대 라틴어역 성서(Old Latin Version)는 바로 ‘칠십인역’에서 번역된 것이다. 교부들 사이에서도, 히브리어로 된 구약에는 없고 그리스어로 번역된 구약에만 나오는 책들에 대한 경전으로서의 권위를 문제삼기는 하였으나, 1546년 트렌트 회의에서는 그리스어 외경을 히브리어 성경에 들어 있는 39권 책과 동일하게 영감 받은 권위 있는 경전으로 인정하게 된다. 히브리어 구약에 들어 있는 39권의 책은 이미 경전으로 전해져온 것이므로 이것을 ‘제1경전’이라고 하였고, 그리스어 구약에 들어 있는 나머지 책들은 늦게 경전이 되었다고 하여 ‘제2경전’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논의의 편의상 여기에서 ‘제1경전’ ‘제2경전’이란 말을 쓰지만, 이런 용어는 16세기 트렌트회의 이후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므낫세의 기도’ ‘제1에스드라’ ‘제2에스드라’는 불가타역 성서에 들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경전으로 인정 받지 못하였다. 따라서 불가타역은 이 세 책을 부록으로 취급하여 별도로 편집하였고, 나머지 책들은 구약의 여러 곳에 적절히 재배치하였다. ‘토빗트’와 ‘유딧’은 ‘느헤미야기’ 다음에, ‘에스더기 추가 부분’은 ‘에스더기’ 안에, ‘마카베오상’과 ‘마카베오하’는 ‘에스더기’ 다음에, ‘지혜서’와 ‘집회서’는 ‘아가’ 다음에, ‘바룩서’는 ‘애가’ 다음에, ‘다니엘서 추가 부분’은 ‘다니엘서’ 다음에 각각 편집해 넣었다. | |||||||||||||||||||||
는 39권의 낱권으로 형성된 구약과 27권의 신약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신교의 성서가 유대교의 경전과 다른 것은 구약외에 신약을 더 가지고 있다는 것이며, 구약의 경우도 내용은 같지만 책의 분책과 배열이 다르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기독교에서는 '사무엘 상' 과 '사무엘 하'로 나누지만 유대교 경전에서는 '사무엘, 한 권으로 구성하고 있다. 책의 배열에 있어서도 개신교는 욥기, 시편, 잠언등으로 되어있는데 유대교 경전에서는 시편, 욥기, 잠언등의 순서로 되어 있다.
가톨릭과 다른 것은 가톨릭이 제2경전이라고 부르는 외경(外經)을 경건문학으로는 받아들여도 경전으로는 고백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가톨릭에서는, 외경의 경전성 문제가 논의되어 오다가 ‘제2경전’으로 정착되었지만, 개신교쪽에서는 종교개혁 당시부터 외경의 경전성 문제가 논의되다가 끝내 경전 안에는 들어 올 수 없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
대한성서공회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
'기독교 이야기 > 기독교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브리어 성경의 비밀 (0) | 2017.07.17 |
---|---|
한글 성경의 종류 (0) | 2017.07.16 |
사마리아성 (0) | 2017.07.14 |
성서의 역사는 얼마나 정확한가? (0) | 2017.07.14 |
성경속 포도주 (0) | 2017.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