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십인역(Septuagint, LXX)


모두가 알다시피 구약성경은 히브리어(일부는 아람어)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신구약 중간 시대에는 헬라어(그리스어)가 공용어로 사용되었고,

또 각지에 흩어진 유대인들과 유대 경전을 연구하는 이들에게

헬라어 구약 성경의 필요가 절실하게 요청되었다.


그리하여 히브리어로 된 구약 성경을 헬라어로 번역한 것이 바로 70인역(LXX)이다.
이것은 유대인들이 많이 살고 있던 알렉산드리아에서 이루어졌는데,

전설에 의하면 프톨레미 필라델푸스 왕(주전 285-246)의 요구로

12지파에서 6명씩의 장로들이 대표로 선택되어 72명이 모여 70일만에 번역을 마쳤다고 한다.
여기에서 '70인역'이라는 이름이 나온 것이다. 

 
예수님이 사역하시던 시대에는 이 성경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을 것이고,

신약성경에서 히브리어로 기록된 구약구절을 인용하였던 헬라어의 구절은 주로 70인역에서 되어진 것이다.

히브리어 구약성서가 그리스어로 번역된 배경에 관해서는 

 "아리스테아스의 편지지(the Letter of Aristeas)"라는  오래된 문헌에 언급되어 있다.
이 편지는 프톨레미 2세 필라델푸스(기원전 285-246년)가 이집트를 다스릴 때

기록된 그 당시의 편지임을 드러내려고 당시 관리로 있던 아리스테아스라고 하는 그리스 사람이 쓴 것으로 되어 있다.


이 편지를 보면, 프톨레미 2세의 요청으로 예루살렘에서 유대교 학자들이 와서,

히브리어 율법서를 헬라어로 번역하게 된 사정을 언급하고 있다.
같은 이야기가 형태를 조금씩 달리하여, 필로와 요세푸스와 탈무드와 교부들의 글에도 조금씩 나타나 있다.


오늘날 학자들은 이 편지의 저자가 알렉산드리아에 살고 있던 유대인으로서

율법서 번역이 끝난 다음에  이와 같은 아리스테아스의 편지를 썼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즉 알렉산드리아에서 처음으로 번역된 칠십인역이란 기원전 3세기 중엽에 번역된 구약의 오경 곧 율법서 부분을 일컫는다.
히브리어 구약성서가 모두 그리스어로 번역되기까지는 그 후 한 세기 이상이 걸렸다고 본다. 적어도 기원전 1세기까지는 모든 구약성경의 번역이 완료되었으리라고 본다. 이렇게 하여, 칠십인역 성서는, 한편으로는 유대교를 이방 세계에 알리는 통로가 되었으며, 다른 한 편으로는 기독교의 전파에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그 후 기독교가 칠십인역을 자기들의 성경으로 받아들이면서부터 역으로 유대교에서는 칠십인역을 버리고 자기들의 히브리어 본문 성서를 다듬는 일에 더 열성을 보였다. 제 2성전 파괴 이후, 새로운 히브리어 본문이 편집되면서, 히브리어 본문과 칠십인역 사이의 차이점들이 점점 더 많이 나타나게 되자, 그리스어로 구약을 읽던 이들 쪽에서는 최신 히브리어 본문을 대본으로 하는 새로운 번역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결국 이러한 상태로 몇세기가 지난 후, 

 여러 가지 상이한 번역판을 갖게 된 기원후 3세기에 이르러서는

성서 본문에대한 서로 다른 이해가 빚는 혼란을 함께 감당해야만 했다. 

 
그래서 기원후 230-240년 경에 가이사랴에서 활동을 하던 알렉산드리아의 신학자 오리겐(Origen)이

『여섯 본문 대조 성서(Hexapla)』를 편집하였는데 바로 이것이 ‘헥사플라’라고 불리는 것이다.

(1) 히브리어 본문,
(2) 히브리어 본문의 헬라어 음역,
(3) 아퀼라역,
(4) 심마쿠스역,
(5) 칠십인역,
(6) 테오도션의 개정역

오리겐은 이 여섯권의 성경을 서로 평행으로 편집하여 서로 비교해 볼 수 있게 하였다.
물론 오리겐의 주요 관심은 다섯째 난의 칠십인역이었다.
그는 칠십인역 본문을 히브리어 본문과 비교하여, 히브리어 본문에는 없는데 칠십인역에만 있는 첨가된 본문에는 앞과 뒤에 의구표(疑句標)를 하였고, 히브리어 본문에는 있는데 칠십인역에 그 본문이 번역되어 있지 않는 곳에서는, 다른 그리스어 번역에서 그 부분을 가져와서 칠십인역에 삽입시키고 앞뒤에 의구표를 붙여 놓았다.
의구표란 고사본의 의심스러운 본문이나 재생시킨 본문을 표시하던 단검표(+)나 마이너스표(-)나 나누기표(÷)나 별표(*) 등의 표시를 일컫는다.

그러나 고문헌의 기록으로 보면, 아쉽게도 헥사플라의 원본은 600년 경까지는 존속되었던 것 같으나, 오늘날에는 단편만 남아 있다.
만일 이 핵사플라가 지금 발견되어진다면, 그당시 사용되던 6개의 성경을 서로 비교할 수 있으므로 그 가치는 대단히 중요할 것이다.

주전 3-1세기경 애굽의 알렉산드리아를 중심해서 생겨난 구약 성경 헬라어 번역본인 칠십인경(=LXX)은 하나의 통일된 번역이라기 보다는 번역 기술이나 히브리어 지식이나 문체 등에 있어서 서로 매우 다른 여러 사람의 번역들을 모은 것으로 보인다. 초기 기독교인들의 구약성경이 칠십인역이었음은 신약에 인용된 구약본문들이 주로 칠십인역 구약성경에서 온 것임을 보더라도 잘 알 수 있다. 이런 과정에서 기독교인들은 칠십인역 성경에서 기독교에 유리한 내용을 찾아내기 시작하였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기독교적인 내용들을 조금씩 수정하였다는 비판을 받게 된다.


이에 반발하여 유대인들은 주후 2세기 경에 이미 히브리 본문에 맞도록 헬라어 성경을 개정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리하여 새로 나온 헬라어 번역본들로서 중요한 것이 아퀼라역(a'), 쉼마쿠스역(s'), 데오도시안역(q')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주후 230-240년에 알렉산드리아의 오리겐은 6500쪽이 넘도록 각 쪽에 여섯 란을 두고서 그 때 구할 수 있던 히브리 성경, 그것의 발음을 헬라어로 바꾸어 적은 것, 아퀼라 번역본, 쉼마쿠스 번역본, 칠십인역, 테오도시온 판등을 각각 적어 넣어 서로 비교하도록 하는 <헥사플라>를 편찬하였다.


오리겐의 관심은 히브리원문을 근거로 하여 기독교인들이 칠십인역을 자의적으로 쓰고 있다고 비난하는 유대인들의 논쟁에 기독교인들이 맞설 수 있도록 칠십인역이

히브리 본문에 얼마나 가까운가를 드러내어 보이려는 데 있어 이 여섯 가지 본문을 비교하면서 그 나름대로 다섯번째 란의 칠십인역을 새롭게 손질하였던 것이다.


이 칠십인역이 나중에는 헥사플라와는 따로 떨어져서 그것만으로 널리 쓰이게 되었는데 이것을 칠십인역의 헥사플라 개정판(BHK의 GH) 또는 오리게네스 칠십인역(BHS의 GO)이라고 부른다.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