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 스케일링 그 후


  얼마 전 난생처음 치아 스케일링을 경험한 김호석씨(31)는 며칠째 이가 시리다고 야단이다. 요즘 더운 날씨에 시원한 물 한잔을 못 마시고 있다.


이처럼 치아 스케일링 이후 이가 시리거나 잇몸에 느껴지는 허전함으로 인해 고생하는 사람들이 있다.


특히 치석은 치주질환을 일으키거나 이미 그로인해 진행된 경우가 많아, 잇몸질환을 앓고 있는 노인들의 경우, 하고나서 오히려 후회하는 케이스도 많다. 때문에 일부 치과에서는 스케일링 직후 환자들의 원성이 쏟아지기도 한다고.


이는 대부분 스케일링을 오랜만에 했거나 처음 해본 경우에 해당된다. 그만큼 치석이 많이 쌓여, 제거 뒤 빈공간도 커진 것. 하지만 대부분 그런 느낌은 반나절에서 길어도 수일 내로 사라진다.


◇보이는 치석, 빙산의 일각...잇몸 파고들어 문제발생


치석은 구강 내 세균막인 치태가 돌처럼 굳어 생성된다. 밥풀떼기와 비슷한 연성이던 치태가 타액의 이온의 영향을 받아 굳는다.


문제는 치면에 달라붙어 있다가 점점 잇몸 안쪽으로 파고드는 것. 즉 처음 잇몸위에 생기다가 점점 안쪽으로 파고들어 문제를 일으키는 것이다.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 김태일 교수는 “마치 빙산의 일각처럼 겉으로 보이는 치석은 그 전부가 다가 아니다”며 “대개 풍치나 잇몸질환의 원인이 된다”고 밝혔다.


특히 스케일링 직후 잇몸이 흔들린다거나 치아가 시린 불편감은 이 같은 치주질환이 심할수록 더욱 더 나타난다.


따라서 이런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치석이 되기 전 치태부터 제거하는 것이 좋다. 또한 스케일링의 경우 적어도 3~6개월에 한번 씩 정기적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해 치태나 치석이 자리잡지 않게 한다.


경우에 따라 1~2개월에 한번 꼴로 스케일링이 필요한 사람들도 있다. 양치질을 잘못하거나 입속에 칼슘성분이 풍부해 유난히 빨리 치석이 생기는 사람들에게 해당된다.


스케일링 이후 가장 좋은 것은 자연스럽게 그냥 두는 것이다. 그러나 도저히 원래대로 돌아가지 않는 사람의 경우, 수술을 하거나 추가적 치료도 가능하다.


특히 시리다는 느낌이 계속해서 지속될 경우 신경치료가 이뤄질 수 있다. 신경치료를 한 후에는 심미적 이유로 올 세라믹으로 씌우거나 겉으로는 라미네이트, 임플란트 등 빈공간을 위한 문제해결법도 많이 나와 있다.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것을 선택해야 한다.


또한 스케일링 초반 잇몸에 공간이 자릴 잡아 치아의 흔들림이 심하게 느껴지는 것도 몇 개월 내로 자릴 잡기 마련이다. 그러나 만약 심하게 지속되는 경우 방법은 있다.


신세계치과 김재현 원장은 “심한 경우 흔들리는 치아들끼리 묶어준다”며 “치아를 여러개 묶어서 씌우거나, 철사를 이용해서 치아 안쪽으로만 지지대를 버텨주면 치아수명이 훨씬 높아진다”고 조언했다.


또한 스케일링은 구취제거 효과도 있다. 김태일 교수는 “일반적으로 치석은 세균과 세균이 뿜어내는 독소 덩어리므로 그럴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한편 치석이 생기기 전 양치질과 동시에 치실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칫솔로는 연성침착물이나 치태를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어 치실 사용이 치석생성의 예방차원에서 좋다는 게 전문가들 의견이다.


+ Recent posts